주식의 상한가/하한가 산출 방법
국내 주식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는 요즘입니다.
오늘은 코스피 지수가 2480선을 넘어서 장중 기준과 종가 기준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.
사실 저는 주식을 잘 하지 않는 편이지만, 주식 장이 좋다보니 관심이 갈수 밖에 없는데요.
오늘은 주식 거래에 있어 기본이 되는 상한가/하한가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주식의 상한가와 하한가를 계산하기 위해서 호가에 대한 개념이 필요합니다.
호가는 매매거래를 위해 시장에 제출하는 상장유가증권의 종목, 수량, 가격등의 매매요건 또는 그 제출 행위를 말하는데요.
호가 단위는 주권의 가격에 따라 달라집니다.
주식의 상한가/하한가는 기준가를 기준으로 30% 까지 상승 또는 하락이 가능한데요.
실제 계산을 해봤을때 기준가에 30%를 넣고 계산해보면 딱 떨어지지 않는 원인이 바로 호가 단위 때문입니다.
(일반적으로 기준가는 전일의 종가를 의미합니다.)
예를들어 요즘 핫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오늘 기준 상한가/하한가를 계산해 볼까요?
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전일 종가는 388,500원 이었습니다.
여기에 30% 증가한 금액은 505,050원, 30% 하락한 금액은 271,950원이지만
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권 가격은 1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기 때문에 호가는 500원이고
상한가/하한가 역시 500원 단위로 계산이 됩니다.
호가 단위로 가격을 맞출때는 기준가에 가까운 금액으로 가는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
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오늘 상한가는 505,000원, 하한가는 272,000원이 되는것입니다.
상한가/하한가를 기록했을때 정확하게 30%가 되지 않는 이유를 이젠 아시겠죠?
'스마트한 정보 > 스마트한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업비트 -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오픈 (0) | 2017.10.20 |
---|---|
신용등급 쉽게 올리는 방법 (0) | 2017.10.05 |
카카오뱅크 5000억 유상증자 (0) | 2017.09.05 |
카카오뱅크 x G마켓 스마일 페이 5000원 지급 이벤트 (0) | 2017.08.29 |
외화통장으로 환테크하기 - KB국민은행 외화통장 (0) | 2017.08.12 |